총 게시물 226건, 최근 0 건
   
[유적답사]

남원에서 걸출한 세계적인 인물 세 명이 배출 되도록......

글쓴이 : 관리자 날짜 : 2007-07-21 (토) 21:07 조회 : 1896


제목 없음

백두대간을 잇자!
남원에서 걸출한 세계적인 인물 세 명이 배출 되도록......



남원은 유사 이래 일본과의 악연이 많은 곳이다.

그 흔적은 고대소설과, 황산대첩비지나 만인의총 그리고 정유재란 당시 남원성의 전투현장인 (구)남원역사 등 각종 전란 사에서 그 흔적과 잔재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맥을 뻗어 내리다가 태백산을 거쳐 남서쪽의 지리산에 이르는 국토의 큰 줄기를 이루는 산맥인
“백두대간!” 그 백두대간은 우리 한민족의 인문적 기반이 되고 있는 산줄기 이며, 자연적 상징이다.


지난(2007.7.19) 남원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장(한병옥)은“남원지역의 일본과의 악연과 왜곡된 역사”라는 주제의 강좌에서 일본은 백두대간으로 지리산을 잇는 목 부위를 절단하여 맥을 끊고 있음은 심히 안타까운 일이라며 다음과 같이 밝혔다.


“남원시 운봉면과 주천면의 경계가 되는 노치(가재)마을은 백두대간의 능선을 중심부에 두고 형성된 마을이다.

일본 놈들은 그 동네중심부로 흘러내려온 산줄기(백두대간 줄기)를 절단하기 위하여 두 군데의 연못을 팠으며 그 산맥의 기가 통하지 못하도록 조임돌(목돌, 돌쇠말뚝)을 만들어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맥을 끊어버렸다.


현재 이곳은 백두대간 능선이 잘려진 채 경작지와 도로가 되어 차량들이 통행하고 있다.

목 부위의 조임돌(목돌, 돌쇠말뚝)은 경작을 하던 농민이 논밭을 갈 때 농기구에 걸려 6개중 5개를 파다 본인(운봉읍 주천면의 신모씨)의 정원에 보관하고 있으며 아직도 1개가 목을 조이고 현지에 남겨져 있다고 한다.


동네 어르신들의 말에 의하면 일본 놈들이 도면과 축지법을 써서 연못을 파고 조임돌을 설치하자 지리산이 사흘을 통곡하였다고 한다.
날(지리산과 이어지는 백두대간 능선)을 끊지 않으면 지리산 주변에서 천지를 좌우하는 인재가 세 사람이 나오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매천야록』(梅泉野錄)에 의하면 백두대간을 끊어 연못을 만든 것은 일제가 아니라 우리나라 돌팔이 풍수였고, 그 돌팔이 풍수는 고종에게 이를 상주하여 벼슬살이 까지 했다고 한다. 그 돌팔이 풍수는 지리산의 정기가 남해를 거쳐 일본으로 들어가 우리나라가 이 모양이니 지리산으로 백두의 정기가 들어 갈수 없게 하려면 백두의 대간 능선을 끊어야 한다고 상소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병옥강사”는 이러한 매천선생의 기록은 중요성과 그 가치는 당연히 인정하지만, 그러나 그렇게 쓰여 있다 보다 ‘왜 그렇게 쓰여 졌느냐? 와 누가 그렇게 쓰여 지게 했느냐?’가 더 중요하며 그것을 읽어내지 못하는 학자는 진정한 학자일 수 없다고 단언을 하였다.

지난 1998년 언론은 백두대간이 확인되었음을 발표하였다. 이로 인하여 일본에 의해 제작된 산맥형성이 아닌 백두대간 되찾기 운동이나 백두대간을 지도에 표기 하자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백두대간이 수계의 경계며, 도의 경계로 이용되고 있지만, 남원은 마을을 지나고 있고 또한 백두대간을 차량으로 달릴 수 있다.

특히 남원은 일본 놈들의 백두대간의 파괴 정책에 의하여 현재, 경작지와 도로가 되어 백두대간의 명맥을 찾아볼 수가 없다.

우리의 선조들은 백두대간을 신성시 하였고, 오늘날 사회의 일각이나 학자들도 우리의 산맥 찾기 운동으로 백두대간 순례가 이어지고 있다.

일본 놈들에 의해서 훼손되었지만 다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복구하는 일은 우리의 할일이 다.

◀백두대간을 자르기 위하여 파란색 부분에 연못을 만들었다.
이 연못으로 인하여 동리밖으로 나오는 도로가 크게 구부러져 있다.


※시멘트로 포장 된 곳이 백두대간이며, 목돌이 설치되었던 곳으로 현재도 발견하지 못한게 있다고 한다.

◀소나무 숲옆이 당시 백두 대간을 끊기 위해 연못을 팠던곳이다..

현재도 연못을 이루었던 흔적이 남겨져 있다.
◀백두대간으로 포장도로가 이루어져 자동차들이 달리고 있다.
◀백두 대간의 목을 조여맥을 끊고 기를 누르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목돌......

운봉면 주촌리의 신모씨집의 정원에 보관되어있는 목돌(돌쇠말뚝)

◀옆으로 세워진 목돌

   
QR CODE

총 게시물 226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
문화로 유인하여 관광으로 돈벌자...!평택 웃다리문화촌과 평창 감자 꽃스튜디오를 찾아서. 기차를 타고 지나가면서 보던 평택역 외엔 난생처음 딛은 평택땅!평택하면 미군기지 이전과 대추리 마을이…
양경님 07-30 2521
35
제목 없음 백두대간을 잇자!남원에서 걸출한 세계적인 인물 세 명이 배출 되도록...... 남원은 유사 이래 일본과의 악연이 많은 곳이다. …
관리자 07-21 1897
34
한문 학자이신 조수익(趙洙翼)강사님의 무령부원군 유자광의 강의를 듣기 전 나는 지역사회의 지인들을 통해 기끔 들어 왔던 부정적 이야기가 유자광의 이야기 였다. 강사님께서는유자광의 전기를 흥미. 야담.전…
양경님ㄴ 07-21 1974
33
지난 7월12일(목) 원광대 나종우교수님의" 전통문화와 역사"란 강의에서 남원시 대산면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에 대한 강의를 감명깊게 듣고 그냥 지나칠 수 없어 토요일은 문화원에서 주관한 경북 영천과 포항 열린문…
양경님 07-17 1824
32
[남원문화원 열린문화 답사](하반기2차) 문화를 통해 만난 경북영천과 포항! 천혜의 자연이 펼쳐져 있고 고결한 선현의 정신이 배어있는 아름다운고장 영천!푸른 바다가 있어 더 아름다운 도시, 24시간 잠…
양경님 07-14 1482
31
[남원문화대학] 한국 전통문화의 특성 "한국전통문화의 특성 "에 대한 강의가 수강생들의 진진한 분위기속에 나종우 교수님의 열강이 무더위를 식혀주었다. 전통문화는 오랜세월 속에서 많은 시행착…
양경님 07-13 1469
30
" 남원전통문화에 관한 설화"에 대하여 남원문화대학 두번째 강의시간은 남원예총지부장이신 윤영근회장님이셨다. 남원은 국악의 성지로서 오늘날 우리나라 판소리의 보편적 정형의 기초를 다듬은 곳으로 수많은 …
양경님 07-06 1828
29
제목 없음 홍승기교수와 함께하는 문화답사....남원사회봉사단체(회장 배종철)가 운영하는 남원문화대학에서는 홍승기교수의 남원의 역사란 주제속의 강의를 마친후 6월 30일 현지답사를 가…
양경님 07-01 1697
28
20007년도 경주권문화답사에 이어 한국사에서 고려사를 전문적으로 전공하신( 전)서강대교수이신 홍승기 교수님의 첫 강의는 남원의 역사에 대하여 또 다른 관심을 갖게하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독자적인 생각으…
양경님 06-28 1700
27
남원사회봉사단체협의회(회장배종철)와 전북역사학회(교수나종우)가 주최.주관하고 남원시와 남원문화대학총동창회. 남원투데이가 후원하는 남원문화대학이 과거와 현재가 살아 숨쉬고 있는 천년 고도의 도시이며 신…
양경님 06-23 1709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맨끝
 
Copyright ⓒ www.ygn21.co.kr. All rights reserved.     contact: ykn1212@hanmail.net
상호(법인)명: 지리산과 섬진강 세상 / 대표전화: 070-4223-4216 / 063) 625-4216 / FAX: 063) 635-4216
주소: 우)590-985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20-17번지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예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