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준만 터놓고 말합시다]'시민기자 혁명'을 위하여
2008년 04월 13일 (일) 14:07:10 새전북신문
sjb8282@sjbnews.com
“모든 시민은 기자다.” 지금으로부터 8년전 오마이뉴스가 들고나온 이 구호이자 컨셉은 대성공을 거두어, 다른 매체들로까지 파급되었다. 방문자들이 기사를 읽는 장소만 다를 뿐, 사실상의 시민기자라 할 수 있는 블로거 기자는 미디어 다음에 등록된 수만 해도 3만5000여 명에 이른다. 이젠 신문과 방송 등 전통적인 매체들까지 시민기자제를 적극 운영하기에 이르렀다.
시민기자제의 확산에 대해 반론이 전혀 없는 건 아니다. 문화평론가 김헌식씨는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나 이를 저급하게 모방한 네이버 지식iN이나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제는 선(善) 의지를 가진 대중지성의 결과물로 채워진다”며 “그러나 참여자 또는 조직구성원이랄 수 있는 대중지성에 대해서는 배려가 없다. 대중지성이 생산한 양질의 결과물로 상당한 수익을 올린다. 새로운 노동착취의 시대가 온 것이고, 그 착취는 선의지, 자율성, 참여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했다. 조정환 다중네트워크센터 대표도 “기업과 자본이 자기네의 이윤 축적을 위해서 사실상 다중지성을 착취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 네이버가 대표적이다”고 했다.
그런데 지방에선 그런 논란도 딴 세상 일처럼 여겨진다. 관심과 주목의 서울 독식 체제 때문이다. ‘전업 블로거 기자 시대’가 열린다는 말도 대중이 선호하는 기사거리가 주로 어디에 널려 있느냐는 의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달리 말해, 그런 시대가 온다 해도 그건 서울 이야기일 뿐이라는 것이다.
지방의 시민기자제는 서울과는 다른 문법으로 움직여야 하고 또 그럴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혁명’이란 말을 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방에서의 시민기자제는 자의건 타의건 시민이 소외된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는 지방자치제의 정상화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새전북신문?? 2006년 11월 1일자에 소개된 바 있는, 지역민 70% 이상이 지역신문을 구독하며 시민기자로 활동한다는 오스트리아 슈바르자흐시야말로 ‘시민기자 혁명’의 이상향이다. 그런 조건하에선 제대로 된 지방자치가 안 될래야 안될 수가 없으리라.
우선 전주에서부터 시작해 전북을 한국형 ‘시민기자 혁명’의 총본산으로 만드는 건 불가능한 일일까? 답을 하기 전에 발상의 전환부터 해보자. 지역신문의 못난 점을 꾸짖는 기존 ‘네거티브 방식’에서, 지역신문을 지역 소통의 거점으로 삼아보려는 ‘포지티브 방식’으로 전환해보자.
사실상 지난 수십년간 ‘네거티브 방식’으로 해온 결과가 가져온 결실이 없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게 당연하지 않겠는가. 지역신문 이야기만 나오면 “안돼! 절대 안돼!”를 외치기에만 바쁜, 지독한 현실주의·냉소주의·패배주의를 박살내지 않고선 정상적인 지방자치를 영영 기대할 수 없다는 게 분명하지 않은가.
모든 시민운동단체들부터 아예 시민기자단체를 겸하는 건 어떤가? 도토리 키재기 수준이나마 상대적인 비교평가를 통해 싹수가 남아 있는 신문을 하나 골라 참여와 홍보의 공간으로 적극 활용하자는 것이다. 그런데 현 지역 현실은 양쪽이 완전히 따로 노는 형국이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시민기자제에 희망을 거는 신문사는 단계별 발전 전략·전술을 택해 시민기자단의 친목 기능에도 신경을 쓰는 동시에 고발과 비판 못지 않게 ‘애향운동’으로서의 의제 설정에도 주력하면 좋겠다. 애향운동부터 관변 일변도에서 벗어나 생활밀착형으로 전환시켜 보자는 것이다. 그밖에도 각종 취미·여가활동 단체들도 끌어들이는 등 시민기자제의 ‘품목’을 다양화하자. 기존 서울공화국 체제로 인한 ‘관심·주목·참여 경제’의 파탄 상태에서 ‘시민기자 혁명’은 지방을 살리고 키우기 위한 당위다.
/전북대 교수
2008년 04월 13일 (일) 14:07:10 새전북신문
sjb8282@sjbnews.com
“모든 시민은 기자다.” 지금으로부터 8년전 오마이뉴스가 들고나온 이 구호이자 컨셉은 대성공을 거두어, 다른 매체들로까지 파급되었다. 방문자들이 기사를 읽는 장소만 다를 뿐, 사실상의 시민기자라 할 수 있는 블로거 기자는 미디어 다음에 등록된 수만 해도 3만5000여 명에 이른다. 이젠 신문과 방송 등 전통적인 매체들까지 시민기자제를 적극 운영하기에 이르렀다.
시민기자제의 확산에 대해 반론이 전혀 없는 건 아니다. 문화평론가 김헌식씨는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나 이를 저급하게 모방한 네이버 지식iN이나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제는 선(善) 의지를 가진 대중지성의 결과물로 채워진다”며 “그러나 참여자 또는 조직구성원이랄 수 있는 대중지성에 대해서는 배려가 없다. 대중지성이 생산한 양질의 결과물로 상당한 수익을 올린다. 새로운 노동착취의 시대가 온 것이고, 그 착취는 선의지, 자율성, 참여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했다. 조정환 다중네트워크센터 대표도 “기업과 자본이 자기네의 이윤 축적을 위해서 사실상 다중지성을 착취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 네이버가 대표적이다”고 했다.
그런데 지방에선 그런 논란도 딴 세상 일처럼 여겨진다. 관심과 주목의 서울 독식 체제 때문이다. ‘전업 블로거 기자 시대’가 열린다는 말도 대중이 선호하는 기사거리가 주로 어디에 널려 있느냐는 의문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달리 말해, 그런 시대가 온다 해도 그건 서울 이야기일 뿐이라는 것이다.
지방의 시민기자제는 서울과는 다른 문법으로 움직여야 하고 또 그럴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혁명’이란 말을 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지방에서의 시민기자제는 자의건 타의건 시민이 소외된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는 지방자치제의 정상화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새전북신문?? 2006년 11월 1일자에 소개된 바 있는, 지역민 70% 이상이 지역신문을 구독하며 시민기자로 활동한다는 오스트리아 슈바르자흐시야말로 ‘시민기자 혁명’의 이상향이다. 그런 조건하에선 제대로 된 지방자치가 안 될래야 안될 수가 없으리라.
우선 전주에서부터 시작해 전북을 한국형 ‘시민기자 혁명’의 총본산으로 만드는 건 불가능한 일일까? 답을 하기 전에 발상의 전환부터 해보자. 지역신문의 못난 점을 꾸짖는 기존 ‘네거티브 방식’에서, 지역신문을 지역 소통의 거점으로 삼아보려는 ‘포지티브 방식’으로 전환해보자.
사실상 지난 수십년간 ‘네거티브 방식’으로 해온 결과가 가져온 결실이 없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게 당연하지 않겠는가. 지역신문 이야기만 나오면 “안돼! 절대 안돼!”를 외치기에만 바쁜, 지독한 현실주의·냉소주의·패배주의를 박살내지 않고선 정상적인 지방자치를 영영 기대할 수 없다는 게 분명하지 않은가.
모든 시민운동단체들부터 아예 시민기자단체를 겸하는 건 어떤가? 도토리 키재기 수준이나마 상대적인 비교평가를 통해 싹수가 남아 있는 신문을 하나 골라 참여와 홍보의 공간으로 적극 활용하자는 것이다. 그런데 현 지역 현실은 양쪽이 완전히 따로 노는 형국이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시민기자제에 희망을 거는 신문사는 단계별 발전 전략·전술을 택해 시민기자단의 친목 기능에도 신경을 쓰는 동시에 고발과 비판 못지 않게 ‘애향운동’으로서의 의제 설정에도 주력하면 좋겠다. 애향운동부터 관변 일변도에서 벗어나 생활밀착형으로 전환시켜 보자는 것이다. 그밖에도 각종 취미·여가활동 단체들도 끌어들이는 등 시민기자제의 ‘품목’을 다양화하자. 기존 서울공화국 체제로 인한 ‘관심·주목·참여 경제’의 파탄 상태에서 ‘시민기자 혁명’은 지방을 살리고 키우기 위한 당위다.
/전북대 교수
* 양경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4-17 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