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319건, 최근 0 건
   

김우영작가 이야기

글쓴이 : 양경님 날짜 : 2012-08-18 (토) 19:08 조회 : 1234
▲ 김우영 작가·대전중구문학회 사무국장
▲ 김우영 작가·대전중구문학회 사무국장

스무살 시절. 시골 서천에서 서울에 올라가 살면서 한때 돈에 욕심을 가졌던 때가 있었다. 당시 청바지 문청시절(文靑時節) 정신적 스승이었던 수필가 윤모촌 선생이 사시는 서대문 홍제동으로 찾아 뵈었다. “선생님 돈을 벌고 싶습니다. 가르쳐 주십시요.” “으음 그런가? 그러면 자네 길에서 오줌을 누면서 한 쪽 다리를 들고 눌 수 있겠는가?”

그 당시는 그 말씀이 무슨 뜻인지 몰라 어리둥절하다가 훗날 차츰 나이가 들면서 이해하게 되었다. “돈이나 권력을 좇으려면 다리 한 쪽을 들고 오줌을 누는 개처럼 살라는 뜻이로구나… !”

그 시절 우연히 서대문 인왕산을 올랐다. 맨 꼭대기 큰 바위덩이에 사람 발자국이 깊게 파인 '감투바위'를 보고 멈칫했다. 한 장 가까이 되는 그 단단한 바위에 사람의 발로 움푹움푹 발자국을 남기려면 도대체 얼마나 걸렸을까? 최소한 수 십 명이 수 십 년 이상을 부단히 오르내렸을 터다. 그 후 어느 날. 종로도서관에서 책을 읽다가 황학정 활터를 끼고 올라 배화여자대학 뒷동산을 걷는데 그 숲 속에 또 하나의 '감투바위'가 있는 게 아닌가? 바위 꼭대기 동쪽 편에 엉덩이를 붙이고 앉을만한 자리가 움푹 파인채로 말이다. 그 자리에 앉아 찬연하게 떠오르는 해를 바라보며 생각에 잠겼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수 십 년 동안 앉았다 갔기에 이처럼 바위가 움푹 파였을까!

이처럼 하찮은 바위 하나에도 정성과 노력이 따라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세상 모든 일은 욕심대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오랫동안 피나는 연마를 통한 목표의 성취물이라는 걸 새삼 느꼈었다.

또 하나 '월남 야담'에 나오는 감투 이야기. 감투 한 번 써 보는 것이 평생소원인 사람이 있었다. 그러던 터에 높은 곳에서 감투가 하나 있는데 써 보라며 연락이 왔다. 그는 당장 옷을 잘하는 사람한테 찾아가서 '이제 감투를 쓰게 되었으니 내 지위에 맞는 새 옷을 맞춰 입어야 겠다'고 했다. 주인은 신중하게 그의 치수를 다 잰 다음에 물었다. “그럼 한 가지 묻는데요. 선생님은 벼슬을 하신지 얼마나 됩니까?”

벼락감투를 썼다고 대답하기가 멋쩍고, 또 한편으로 그런 질문을 한다는 게 여간 의아스럽지 않았다.

“그것을 알아야 옷을 제대로 만들 수 있습니다. 처음 높은 자리에 오르게 되신 분은 위엄을 부려 잔뜩 고개를 쳐들고 턱도 치켜 올리고 가슴은 활짝 내밀고 위풍이 당당합니다. 그래서 도포의 앞자락이 뒤보다 길게 만듭니다. 그러다가 한 두 해가 지나 맡은 일에 열중하고 조금씩 이력이 나고 사리에도 밝아지게 되면 앞으로 다가올 일을 걱정하고 백성을 위해 뭣을 해야 하는지 생각하면서 도포의 앞단과 뒤의 길이가 같도록 재단해야 합니다. 또 한 두 해가 지나면 책임감과 격무에 시달려 오만스러움도 가시고 겸손하게 되어 자연 허리가 굽어지게 됩니다. 그러면 도포의 뒤가 앞보다 길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래서 옷이 선생님에게 어울리게 만들려면 벼슬경력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문학과 젊음, 술과 여자, 자살의 유혹, 장발에 높은 구두굽, 2년여의 전국방랑 삼천리 무전여행 등 가슴 뜨겁던 더벅머리 스무살 시절의 방황을 끝내고 나이 삼 십이 넘어 직장을 잡았다. 아침에 뜨는 찬연한 해를 보고 밤에 뜨는 초롱한 별빛을 보며 세월을 넘기다보니 벌써 자녀 셋을 두고 흰머리 희끗한 반 백의 나이 50대 중년남자로 여기 이렇게 서서 욕심없이 허허로이 바람처럼 오늘을 살아가고 있다.

 어린시절 시골에서 돼지를 잡을 때 여러 사람이 달라붙어서 돼지털을 손질하고, 내장을 씻고, 고기를 고르는 중 '오소리감투'를 어렵게 찾아낸다. 오소리감투는 찾기도 힘들고 숨어버리는 습성이 있는 돼지의 위장이다. 겉모습도 두툼한 빵떡모자 감투와 흡사해 버릴게 하나도 없는 귀한 고기다. 능력이 부족하고 경륜도 풍부하지 못한 반식대신(伴食大臣)감투를 쓴 자들이여! 소슬한 초가을 바람결에 하나도 버릴게 없는 '오소리감투'의 정신으로 '한국형 리더십을 말한다'의 일본 인터넷 기업의 대부 손정의 소프트방크 회장의 책 속에 풍덩 빠져보시라!

요즘 국민의 세금으로 어질고 착하다 싶어 인물을 가려 뽑아논 선량(選良)들이 각종 '감투싸움'으로 국민들을 실망시키고 세상을 어지럽히고 있어 답답하기 그지없다.


“눈 앞을 보기 때문에 멀미를 느끼게 된다. 몇 백 미터 앞을 보라. 바다는 기름을 제거한 것처럼 평온하다. 나는 그런 장소에 서서 오늘을 지켜보고 사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너른땅 한밭벌 문인산방에서
영원한 보헤미안 괜찮은 남자
나은 길벗 김우영 절
 

 


   
QR CODE

총 게시물 319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날짜
지리산 빨치산 대장출신 인물의 구술을 바탕으로 기록물 - 남원 출신의 빨치산 대장 최정범씨의 일대기를 그린 이야기 -○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을 당하고 해방정국에 좌·우익 충돌을 겪었던 사람의 기록○ 6·25 전쟁 당시 분단과 이념으로 비극을 겪은 지역구 남원의 향토사 차원의 기록현역 국회의원이 임기 말 지금은 전향해서 …
06-01
39
문화재(보호)구역 내 금연구역 지정 운영 남원시는 흡연으로 인한 화재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문화재 시설 또는 문화재 보호구역 67개소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여 공고한다. 지난 1월에 개정된 문화재보호법 제14조 및 시행규칙 제3조의 2에 의거 지정문화재(보호구역) 중 목조건축물(주거용 건축물 제외), 동산 문화재…
08-21
38
▲ 김우영 작가·대전중구문학회 사무국장 스무살 시절. 시골 서천에서 서울에 올라가 살면서 한때 돈에 욕심을 가졌던 때가 있었다. 당시 청바지 문청시절(文靑時節) 정신적 스승이었던 수필가 윤모촌 선생이 사시는 서대문 홍제동으로 찾아 뵈었다. “선생님 돈을 벌고 싶습니다. 가르쳐 주십시요.…
08-18
37
백장암 3층석탑(국보 10호) 편집실 08-06 22:33 | VOTE : 0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 백장앞 3층석탑 앞에 대웅전을 건립하였네요. 아직 석가모니불은 봉안을 안할걸 보면 곧 봉안식을 할 계획인것 같습니다. 통나무를 홈을 내어 물대롱으로 사용하고 있네요... …
08-07
36
광한루원에서 춘향제 관련 사진 감상 편집실 08-03 13:21 | VOTE : 0 남원시에서는 본격적인 하계휴가철을 맞이하여 광한루원내 춘향관에 오는 8월 6일 부터 9월 5일까지 1개월간, 제82회 춘향제기념『전국춘향사진촬영대회』에서 입상한 작품을 전시하여 광한루원을 방문하는 …
08-07
35
8월4일 (토요일) 오후 30도를 웃도는 기온 속에 “이야기 한국사 강좌”에 빠져 피서를 즐기는 사람들이 있다. 더위보다는 한국의 역사이야기 속에 푹 빠져들어 더위도 잊고 있다고 한다. 피서지에서 가족이나 친지들과 함께 피서를 즐기다가도 다음이야기가 궁금하여 강의에 참석한다고들 한다. …
08-04
34
남원시에서는 본격적인 하계휴가철을 맞이하여 광한루원내 춘향관에 오는 8월 6일 부터 9월 5일까지 1개월간, 제82회 춘향제기념『전국춘향사진촬영대회』에서 입상한 작품을 전시하여 광한루원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특색 있고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작품이 전시되는 춘향관은 조선시대 우리나…
08-03
33
“더위에 지쳐 잠 못 이루는 여름밤 소리여행 어때요!” 여름 밤(20:30~), 남원 사랑의 광장에서는 본격적인 피서철을 맞아 펼쳐지는 별밤 축제 마당이 더위를 식혀준다. 지난 17년 동안 관광객들에게 제공 된 국악의 본 고장 남원에서만 체험할 수 있는 차별화된 문화관광 상품이다. 7, 8월 두 달 동안 음악분수대가 있는 …
08-01
32
교통질서 확립으로 안전한 남원을 - 26일 아침 교통질서 지키기 캠페인 실시 - 남원시는 깨끗하고 쾌적한 녹색도시, 고품격 남원시를 만들기 위하여 역점 추진하고 있는 기초질서 지키기 시민운동의 일환으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시민들의 교통질서 의식 제고를 위하여 7월26일(목) 남원시내 21개소에서 대대적인 교통질서 확…
07-28
31
옛사람들의 여름나기옷 "등등거리" 남원포유 편집실 제공 07-23 10:36 | VOTE : 0  옛사람들의 여름나기옷 "등등거리" 어제는 24절기 열두 번째인 대서(大暑)였습니다. 대서는 우리말로 하면 “큰더위”를 뜻하며 한국인들이 무더위를 크게 느끼는 날로는 복더위도 있는데 오…
07-24
30
올 여름은 남원에서 보내세요. 남원포유 편집실제공 07-24 14:09 | VOTE : 0   가만히 앉아 있어도 땀이 흐르는 무더운 날씨다. 일상을 뒤로 하고 어디로가 멀리 떠나고 싶다. 매년 되풀이 되는 일이지만 피서를 떠나자니 막상 마땅히 떠오르는 곳이 없다.  …
07-24
처음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맨끝
 
Copyright ⓒ www.ygn21.co.kr. All rights reserved.     contact: ykn1212@hanmail.net
상호(법인)명: 지리산과 섬진강 세상 / 대표전화: 070-4223-4216 / 063) 625-4216 / FAX: 063) 635-4216
주소: 우)590-985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20-17번지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예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