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월대보름(음력 1월 15일)은 신라시대부터 지켜 온 명절로 1년 중 첫 보름달이 뜨는 날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1년 동안의 재앙과 액을 막기 위한 행사로 밤에 다리를 밟으면 다리 병을 앓지 않는다고 하여 답교놀이를 하였다.
또 곡식을 축내는 쥐를 없애기 위해 논과 밭을 태우는 쥐불놀이를 하였고, 줄다리기, 고싸움, 차전놀이 등 다양한 행사를 한다. 그 외에도 일 년 열두 달 동안 무사태평하고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기를 바라며 땅콩, 밤, 호도, 은행 등을 깨무는 부럼과 데우지 않은 청주를 마셔서 일 년 내내 좋은 소리를 듣기 기원하는 귀밝이술이 있다.
대보름 전날에는 붉은 팥죽을 쑤어 먹으면서 악귀를 쫓고, 오곡밥, 약밥, 묵은 나물, 원소병 등을 먹는다. 대보름날 아침밥을 물에 말아 먹고, 김치, 누른 밥, 고춧가루 섞인 음식은 먹지 않는다.
정월은 한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해를 설계하는 달이다. 정월대보름을 한자어로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이란 삼원의 하나이다. 대보름날에는 점을 친다. 또 율력서에 "정월은 천지인 삼자가 합일하고 사람을 받들어 일을 이루며,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달"이라고 써져있다.
음식으로는 5가지의 곡물로 만든 오곡밥과 나물을 하루에 10번 먹기도 하고 또한,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는 의미에서 견과류의 부럼을 먹는다. 이때 부럼의 껍질을 직접 깨물어 까는 것이 특징이다.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하였는데, 가족 중에 누군가 잠이 들면 밀가루 등으로 눈썹을 하얗게 칠해놓기도 했다. 보름날 전후로 며칠간은 밤에 쥐불놀이를 하고, 보름날 해뜨기 전에 다른 사람에게 한해 더위를 팔았다.
특히 쥐불놀이는 해마다 첫 쥐날[上子日] 또는 정월 대보름 전날 농촌에서 논밭 두렁 등의 마른 풀에 불을 놓아 모두 태우는 풍습으로, 논두렁 태우기라고도 한다. 이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쥐를 잡고 들판의 마른 풀에 붙어 있는 해충의 알을 비롯한 모든 잡충(雜蟲)을 태워 없앨 뿐만 아니라 타고 남은 재가 다음 농사에 거름이 되어 곡식의 새싹이 잘 자라게 하기 위한 소망이 담겨 있다. 또 민간신앙으로 보면, 이날 불을 놓으면 모든 잡귀를 쫓고 액을 달아나게 하여 1년 동안 아무 탈 없이 잘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이날은 마을마다 농부 또는 청소년들이 들로 나가 밭두렁, 논두렁에다 짚을 깔아 놓았다가 해가 지면 일제히 불을 놓는데 이것을 쥐불이라고 한다. 자우룩한 연기와 함께 불이 사방에서 일어나 온 들판이 장관을 이루는데, 이 쥐불의 크기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 또는 그 마을의 길흉을 점치는 풍습이 있었다. 따라서 마을마다 서로 다투어가며 불을 크고 세게 하려고 애썼다. 밤이 늦어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갈 때에도 들에 타고 있는 불은 끄지 않았다.
황해도 지방에서는 이 놀이를 할 때 마을 소년들이 둑을 경계로 두 패로 나뉘어, 한편에서 불을 놓으면 다른 한편에서는 불을 꺼나가는 경쟁을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이긴 쪽 마을의 쥐가 지는 쪽 마을로 몽땅 쫓겨 가게 되었다. 따라서 이 쥐불놀이에서 이겨야 그 마을 농작물이 해를 입지 않아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이런 것은 농촌에서는 지금도 흔하게 볼 수 있는 풍습이다.
한편 이날 달이 뜰 무렵이 되면 동네 어린아이들도 쥐불놀이에 참가하였다. 예전에는 아이들의 쥐불놀이에 쑥방망이를 사용하였지만 최근까지는 대개 바람구멍이 숭숭 뚫린 빈 깡통을 사용하였다. 깡통의 양쪽에 구멍을 뚫은 다음 철사로 길게 끈을 매단다.
깡통 안에 오래 탈 수 있는 장작개비 조각이나 솔방울을 채운 다음 불쏘시개를 넣고 허공에다 빙빙 돌리며 논다. 저마다 불을 붙여 들고 빙빙 돌리면 불꽃이 원을 그리며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는다. 그러다가 ‘망월이야!’를 외치며 논두렁, 밭두렁에다가 불을 붙이는 것이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충청도 풍속에 떼를 지어 횃불을 사르는 ‘훈서화(燻鼠火)’, 즉 쥐불 놓는 풍습이 있다 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쥐불놀이를 이르는 것이다. 다만 이 놀이는 충청도 지역에 국한된 풍속이 아니라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 양경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2-21 22:19)
* 양경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2-27 2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