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226건, 최근 0 건
   
[문화소개]

우리나라 최초 대중연예집단 안성 남사당 패 (얼레빛 김영조 소장 제공)

글쓴이 : 양경님 날짜 : 2016-09-18 (일) 12:32 조회 : 1189


안성맞춤의 고장 안성은 안성유기와 남사당패의 바우덕이(1848~1870)로 널리 알려진 곳입니다. 어린나이에 부모를 여의고 남사당패에 맡겨진 바우덕이는 타고난 재주꾼인데다가 끈질긴 노력을 보태 남사당패 여섯 마당을 모두 익혔으며 그 가운데 줄타기는 당대 으뜸이었다고 합니다. 어린 소녀 바우덕이가 줄 위에 서면 구경 온 일꾼들이 정신을 빼앗겨 빈 지게를 지고 다닐 정도였다고 하지요. 바우덕이가 속한 남사당은 조선 후기 장터와 마을을 떠돌아다니며 곡예, 춤, 노래를 공연했던 집단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연예집단입니다.  

남사당의 발생 시기는 조선 숙종(1661~1720) 때로 남사당패가 시작된 곳이자 전국 남사당패의 중심이 되었던 곳은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의 불당골이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남사당은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40~50여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단체의 우두머리를 꼭두쇠라고 불렀습니다. 이들은 꼭두쇠를 중심으로 공연 내용을 정하여 기예를 연마하였고 전국의 장터와 마을을 다니면서 풍물놀이, 줄타기, 탈놀음, 창(노래), 인형극, 곡예(서커스)등을 공연하였습니다. 특히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고 있을 때 ‘바우덕이’의 안성 남사당패가 신명나는 공연으로 노역자들을 기쁘게 하여 경복궁 중건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게 되었다고 해서 노비보다 천한 남사당패에게 흥선대원군은 당상관 정3품의 벼슬에 해당하는 옥관자를 수여했다고 하지요.

천하의 재주꾼 바우덕이는 스물셋 꽃다운 나이로 세상을 뜨고 말았지만 바우덕이의 남사당 후예들은 오늘날과 같은 당당한 남사당패로 그 전통을 잇고 있습니다. 안성에서는 2001년도부터 해마다 조선 최초의 여자 꼭두쇠 바우덕이를 기리고 남사당 문화를 세계적인 예술 문화로 전승 발전시키고자 ‘안성 남사당 바우덕이축제’를 열고 있지요. 올해는 10월 7일부터 11일까지 다채로운 행사의 바우덕이 잔치가 열렸습니다.  

   
QR CODE

총 게시물 226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6
누룩은 술을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재료로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누룩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일본의 《고사기(古事記)》에는 오진왕(應神天皇:재위 270~312) 때 백제에서 인번(仁…
양경님 09-18 1347
175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않으니라. 그래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내가 이것을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
양경님 09-18 1382
174
진주(晋州)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 계통의 무용극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한량무(閑良舞)를 보셨나요? “한량”이란 양반 출신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지 못한 사람, 또는 노상 놀고먹는 사람을 이…
양경님 09-18 1320
173
우리는 아기가 태어나면 배내옷을 입힙니다. 배내옷은 갓난아기의 살갗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부드러운 얇은 무명을 쓰고 크기를 넉넉하게 해 입고 벗기기에 편함은 물론 혈액순환이나 움직이는데 쉽게 합니…
양경님 09-18 1655
172
“직지'(1377년)보다 70여년 늦은 독일 구텐베르크(1398~1468) '42행 성서 (1455년)의 금속활자 주조법은 금속주형이 아니라 한국과 중국 등 극동아시아의 ‘설형문자적 주물사 주조 방식’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
양경님 09-18 1335
171
중국땅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몰아낸 이른바 청산리대첩이 있던 날입니다. 화룡현 청산리는 조선인 교민이 많이 모여 사는 북간도의 연길과 용정에서 백두산으로 가는 길목에 있으며 사방을 에워싸듯 둘러싼 주변은…
양경님 09-18 2765
170
안성맞춤의 고장 안성은 안성유기와 남사당패의 바우덕이(1848~1870)로 널리 알려진 곳입니다. 어린나이에 부모를 여의고 남사당패에 맡겨진 바우덕이는 타고난 재주꾼인데다가 끈질긴 노력을 보태 남사당패 여섯 …
양경님 09-18 1190
169
고려말, 조선초에 향나무를 바닷가 개펄에 묻어두는 매향의식(埋香儀式)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그때 자주 출몰하던 왜구의 침탈에 고통을 받던 백성이나 스님이 침향을 정성으로 준비하여 자신들을 구원해줄 미륵…
양경님 09-18 1118
168
“제주의 잠녀는 일본의 해녀보다 추위에 강하다. 또 임신이나 월경 중이라도 꺼리지 않고 사철 작업을 한다. 잠수를 할 때는 ‘소중기’하고 부르는 남색 무명의 수영복을 입는다. 앞쪽은 젖가슴까지 덮지만, 뒤…
양경님 09-18 1225
167
조선시대 《동의보감》을 쓴 허준은 어의로서 내의원에서 일했습니다. 내의원(內醫院)은 조선 시대에 왕실에서 쓰이던 약을 조제하던 관청이지요. 고려시대에는 이 내의원과 같은 일을 하던 곳으로 상약국(尙藥局)…
양경님 09-18 1516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Copyright ⓒ www.ygn21.co.kr. All rights reserved.     contact: ykn1212@hanmail.net
상호(법인)명: 지리산과 섬진강 세상 / 대표전화: 070-4223-4216 / 063) 625-4216 / FAX: 063) 635-4216
주소: 우)590-985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20-17번지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예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