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226건, 최근 0 건
   
[유적답사]

2015년 남원문화대학 (지리산문화해설사2급 과정) 두번째답사

글쓴이 : 양경님 날짜 : 2015-04-19 (일) 23:25 조회 : 2242




















2015년 남원문화대학에서 지리산문화해설사2급 과정을 운영하면서 오늘은(2015.4.18.) 지리산 권역 중 구례주변을 답사하는 시간이었다. 수강생들께서 바쁜 일정으로 소수인원이 참석하여 가족적인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답사를 하였는데 곡전재의 모습이 너무 좋아 사진과 내용을 올려본다.

 

건축물 안내 및 내력

곡전재는 1910년경부터 승주 황전면에 사는 7천석의 부호 박승림이란 분이 明堂을 찾기 위해 십여년을 많은 地官과 함께 수색 끝에 토지면 오미리 環洞(환동)이 금환락지다 확정짓고 李 敎臣(穀田:병주의 曾祖父)씨와 함께 건축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후 박승림씨가 사업상 서울에 거주하고 집은 李敎臣씨가 위임 맡고 있었는데 박승림씨가 죽음으로 그의 子婦李 敎臣씨에게 인도하여 현재 5째 살고 있다

 

그리하여 이집을 구례문화원에서 金環洛地(금환락지)라 하고 여러대학 건축학자들이 건축이 잘되었다하여 목포대학 건축과에서 일주일 이상 조사한 후 문화적 가치가 있다하여 문화재로 할 것을 신청하였다고 한다.

 

원래는 653칸 한옥으로 지어졌으나 중년에 인수당시 동행랑과 중간채를 팔아 훼손되었다가 현재 소유주 이순백께서 19981월 새로이 동행랑과 중간 사랑채를 복원하고 누각을 신설하여 "춘해루"라 이름 지었으며(551칸 연못(洗淵:세연)을 확장하였다 구례군청에서 몇 년간 향토문화유산을 선정하다 2003년 문화재관리위원의 심의를 거쳐 구례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2003-9)

금환락지(金環洛地)의 유래

 

도선(道詵:高麗名僧) 무학(無學:李朝初名僧) 남사고(南師古: 李朝明宗豫言家)등 유명한 地師(지사)들의 秘訣(비결)에 의하면 구례읍에서 동쪽으로 十里를 지나면 큰 明堂터가 있는데 오성(다섯 성씨 水火金木土)바지가 다 살수가 있고 萬戶(만호)가 가희 살 수 있다 하였다.

 

이 명당터에 살면 부귀는 물론 白子千孫(백자천손:많은자손)에다 文官(문관) 千名(천명), 武官(무관)萬名(만명) 文千武萬(문천무만)이라 하고 王妃(왕비)3명이 나고 臥廳朝報(와청조보 30라 하고 그 부근에 上垈(상대:윗 집터) 中垈(중대) 下垈(하대)가 있어 金龜沒尼(금귀몰니) 金環洛地(금환락지) 五鳳歸巢(오봉귀소)陽宅(양택:집터) 3곳이 있고 四大陰宅(사대음택:묘자리)이 있는데 月明峰下化爭飛(월명봉하화쟁비) 鷄鳴邱隅東嶺曉(계명구우동령효) 水廻券頭龍喜笑(수회권두용희소) ?三脊北岸肥(마비삼척북안비)라 하였다

 

이 명당은 下元甲(1984)부터 운이 돌아온다 하였다. 또한 신혼부부들이 이명당터에서 하룻밤만 숙박을 하면 금환락지의 운을 받아 평생 부귀영화를 누릴수 있다는 말이 전해 오기도 한다.

 

중대(中垈)와 하대(下垈)-발췌분

 

구만들에 동네가 생기기 시작한 내력과 이 동네 사람들의 주장을 들으면 어느 자리가 바른혈인지 어리둥절해 진다. 앞서 소개한 이용근씨 같은 분은 용두리가 '금환락지'중의 진혈이라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오늘날 행정구역 마을이름의 하나인 금내리는 '금환락지가 그안에 있다'는 뜻을 지니고 있듯이 동네사람들이 자기동네의 금환락지설을 믿고 있다. 오미리에 속해 있는 환동(環洞)도 금환락지에서 그 이름을 따왔다. 그러므로 금내리와 환동을 중심으로 마을의 성촌내력을 더듬어 보면 그 모습을 알수 있을만하다.

 

앞서 유씨의 <시언> 1883321일 일기에 서 밝힌바와 같이 용두리에서 살던 허현(許泫月溪)이란 사람이 1876년 오미동 동네밑 들가운데 집을 짓고 살면서 '금환락지'의 혈이라는 뜻으로 '환동'이라 부르기 시작한데서 비롯했다. 같은 무렵 유성팔(柳成八)이란 사람도 이곳에 집을 짓고 들어왔다.

 

1895<토지면가좌책>에 따르면 이 동네는 13집이 살았다. 유인규(柳寅圭) 유선칠(庾善七) 등 한방하는 사람들도 명당이라고 이곳에 들어와 한약방을 차렸다. 1917123일 이 명당터에도 큰불이 일어나 4채가 불탔다.

 

1928년 순천에서 조만식(趙萬植)이 이사왔으며 이듬해 4월 박승림(朴勝林18781943)과 경남 합천사람 정태규(鄭泰圭)가 이사왔다.

 

박씨는 순천군(지금의 승주) 황전면 대치리 307번지에서 태어나 7천섬지기 지주로 처음에 구례읍내 봉북리 72번지로 들어왔다. 환동이 금환락지에 틀림없다는 풍수의 권유를 받고 이 환동에 들어와 오미리 476번지에 집을 지었다. 대지만도 1천평이 넘었으며 돌담장도 금가락지처럼 둥굴게 쌓았다. 그는 부자였지만 덕을 베풀어야 복을 받는다면서 동네사람들이 어려울 때마다 몇십섬씩 쌀을 구호미로 내놓아 당시 신문에 날정도로 이름이 있었다. 그에게는 호서(虎緖19031959) 채기(彩琪19081964) 등 본처 이씨 소생 22녀가 있었으며 첩인 오태엽(吳太葉)에게도 세아들이 있었다. 첩은 구례읍에 두고 살았다. 박씨는 7천섬을 가지고 금환락지라는 환동에 들어와 살았으나 축첩해 두집 살림을 하는 동안 본처 소생들이 창고업 등 무리한 사업을 벌이다 실패를 거듭했고 박승림은 결국 194373살의 나이로 서울에서 죽었다.작은아들 채기는 농지개혁 등으로 가세가 기울자 아편을 손대 고향을 떠나 방황하다가 64년에 죽었으며, 큰아들도 죽어 1964년 경기도 양주군 별내면 산곡리로 호적을 옮겨간 며느리가 이집 관리인 이순백씨 조부에게 논 7두락값에 집을 팔아 이씨는 행랑 두채를 뜯어 집값에 보탰다. 환동에는 성주이씨 일촌 일곱집이 아직도 살고 있다.

 

금환락지 곡전재 이 병주

<홈페이지 내용>

 


   
QR CODE

총 게시물 226건, 최근 0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6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김정호(金正浩)는 우리나라 역사상 최고의 지도, 최고의 지리학자로 꼽힙니다. 그런데 김정호가 유명해진 것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조선어독본(朝鮮語讀本)》에 이 대동여지…
양경님 09-18 1448
165
경남 김해시 구산동에 가면 가야의 시조 김수로왕의 왕비무덤인 사적 제74호 “김해 수로왕비릉(金海 首露王妃陵)”이 있습니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따르면, 왕비는 성이 허(許), 이름은 황옥(黃玉)으로…
양경님 09-18 1107
164
“이 해에 전라도가 조금 풍년이 들었으므로 여러 도의 주린 백성들이 모두 가서 얻어먹는데, 그 어린아이를 먹이지 못하여 혹은 길가에 버리고, 혹은 나무에 매어 놓고 가고, 혹은 남의 집에서 하룻밤 자기를 청…
양경님 09-18 917
163
제86회 춘향제 5월13일부터 4일간 개최 - 제87회 일정도 확정 춘향제 국제화 대비 상설준비 가속  - 올해 제86회 춘향제가 연린다.춘향제전위원회가 1월 28일 제전위원회 사무실에서 개최하여 첫 회…
양경님 01-31 1213
162
김삼의당 탄생 246주년 기념 학술포럼 글쓴이 : 편집실 날짜 : 2015-11-24 (화) 22:59 조회 : 15 …
양경님 11-25 2280
161
시민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항상 남원을 사랑하고, 남원의 문화를 사랑하고, 남원의 무궁한 번영을 염원하는 우리는 오늘 200여 년 전 이 땅에서 태어나서 자라고 누구보다 열정적이고 멋진 삶을 살다 간 우리 …
양경님 11-23 1436
160
만인의총의 국가관리 격상을 환영하며  만인정신이 국가정신으로 승화 되어야......... 남원사회봉사단체협의회(회장 형창우)는 만인의사 제향 전날인 2015년 9월 23일 13:00~20:00까지 정유재란 당시 …
양경님 09-27 1211
159
2015년 남원문화대학에서 지리산문화해설사2급 과정을 운영하면서 오늘은(2015.4.18.) 지리산 권역 중 구례주변을 답사하는 시간이었다. 수강생들께서 바쁜 일정으로 소수인원이 참석하여 가족적인 화기애애한 분위…
양경님 04-19 2243
158
용성지를 남긴 선인들의 업적 기려져야...불후의 명작을 남긴 향토인! 그들의 업적부터 챙겨져야... 불후의 명작이 있는 고장은 빛이 난다. 그 고장의 전통과 명승, 정체성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춘…
양경님 04-02 1969
157
남원 역사문화의 보고 “龍城誌”남원은 남방의 근원이 되는 천년의 고도다. 특히 남원은 기록물이 많은데, 대표적으로 알려진 춘향전, 흥부전, 최척전(홍도전), 변강쇠전 그리고 만복사저포기 등의 고전은 물론, 전…
양경님 02-21 2096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
 
Copyright ⓒ www.ygn21.co.kr. All rights reserved.     contact: ykn1212@hanmail.net
상호(법인)명: 지리산과 섬진강 세상 / 대표전화: 070-4223-4216 / 063) 625-4216 / FAX: 063) 635-4216
주소: 우)590-985 전라북도 남원시 동충동 20-17번지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박예슬